본문 바로가기

물리

(5)
과학수다 뇌과학편 스크랩. http://sciencebooks.tistory.com/340
복잡계 네트워크 연재0 #물리 #복잡계 #네트워크 #복잡계물리연재 #EkPark 0.'복잡계 물리학'이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새해를 맞이해서 글을 조금씩 써보자는 마음을 먹어서 부족하지만 이 글을 써봤습니다. 제가 나눌만한건 아무래도 제 전공영역인 복잡계물리학에 대한 얘기가 좋을 것 같아서 이 주제를 택했네요ㅎㅎ 관심은 있지만 다 읽기에 시간이 없으시면 맨 밑의 세줄요약을 읽어주세요ㅎㅎ . 1)"들어가기에 앞서 : 물리학은 무엇을 다루는가?" '물리'리는 단어를 듣고 어떤 것을 연상하셨나요?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어렵다, 제물포, 시공간 등등 여러가지를 떠올리셨겠지만, 가장 많은 분들이 아마 'F=ma'라는 중학교때 부터 접한 공식을 공통적으로 떠올리셨을겁니다ㅎ 이 공식은 뉴턴의 운동법칙을 대표하는 공식인데요, 저는 이 ..
물갤 펌글 - 공부하는 자세(?) 그 당시에는 앞으로 나아갈 길이 태산이라 지금 쓰려는 글은 마치 그 당시에는 사치로 느껴져서 마음속에 새겨뒀던 내용이다. 아니, 돌이켜 보면 사치가 확실했다. 하지만 그때의 기분과 느낌을 지금 살면서도 스스로에게 당부해두어서 뼈에 새긴듯 잊지 않고 사는 탓에 기억하고 몇자 적어보겠다. 우선 첫째로 당부하고 싶은 것은 "제대로 읽고 제대로 파악하는 습관"이다. 공부를 하다보면 텍스트북이나 교재의 처음 부분에 소홀하고 대충 읽어서 저자가 전하려는 핵심을 놓치는 실수를 너무 자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시간을 두고 어떤 내용을 공부하고도 정작 미팅이나 디스커션에서 발표할 때면 내가 무엇을 공부했고 무엇을 말하려는지 몰라 털리는 일들이 종종 있었다. 그 내용을 보면서 수학적인 구조나 과정만이 전부라 생각하고..
배우고 싶은 주제 몇가지(물리 외) 과학사+과학철학 - 과학사를 과학도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한국에는 제대로 과학사를 가르치는 대학이 거의 없다... 과학사와 과학철학을 개인적으로 좀 배워두면 나중에 교양학부에서라도 일할때 도움될지도 모르고ㅋㅋㅋ 과학사회학 - ANT니, STS니 하는 것들은 좀 훓어 볼 필요가 있을듯하다 물리학 고전(교과서 말고), 혹은 고전급의 단행본 - 선배 물리학자들이나 화학, 생물학자들이 쓴 다양한 단행본도 좀 사서 꾸준히 읽을 필요가 있는듯. 특히 고전으로 불릴 수 있는 1900초중반을 살았던 물리학자들의 책을 좀 읽어두고 싶다. 최신 단행본 중에서도 주요 이론을 다루거나, 독창적인 관점에서 다룬것들은 읽어둘 필요가 있는듯 영어 - 말이 필요없다. 전공공부를 위해서건, 실용적인 목적에서건 필수다....
[펌]연구자의 자세 http://srbmag.org/index.php/srbmag/article/view/THOMAS/pdf_4 원문링크 http://silphion.net/506 번역원문링크 연구에 대해 할 수 있는 말은 아주 많다. 기초연구, 응용연구, 최신연구, 혹은 아주옛날옛적의 연구에 이르기까지. 하지만 내가 여기서 하고 싶은 것은 내 연구생활을 뒤돌아보면서 현재 연구를 하는 학생들에게 도움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말해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숙련된 연구자를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방법론 같은 걸 얘기할 생각도 없다. 도대체 언제부터 네 마음속에 연구자가 되겠다는 씨앗이 싹을 트기 시작했을까? 보통은 중고등학교와 대학교 시절을 거치면서 언제, 어떤 식으로든 나에게 뭔가 재밌는 아이디어가 생기고 발전될 것이다...